대관령 주막집 여인의 유혹
대관령 주막집 여인의 유혹 6월 초부터 피는 밤꽃 향기는 특이한 냄새를 풍긴다
옛날에는 남자들의 정액 냄새와 비슷한 이 냄새를 ‘양향(陽香)’이라 불렀다 이 냄새에 취하여 부녀자들의 자세가 흔들릴까봐 밤꽃이 필 무렵이면
혼인으로 부부의 연을 맺었지만 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큰 인물이 될 때까지 부부관계를 잠시 접고 한양에 올라가서 공부를 하세요 저는 친정에서 그림 공부나 하며 서방님의 입신양명을 기다리겠습니다
지금으로부터 380년 전 아내의 청을 받아들여 한양으로 공부하러 간 선비가 있었다
예쁜 아내가 보고 싶어 아내와의 10년 약속을 어기고 처가를 찾아가는 길에 강원도 평창 대화의 한 주막에서 하룻밤 묵게 되었다
지금이야 고속도로가 뻥뻥 뚫려 서울에서 두어 시간이면 닿는 거리지만 그 시절에는 강릉에서 서울을 오가는 선비들은 진부에서 하룻밤을 묵고 아흔아홉 구비 대관령을 걸어서 넘어야 했다
한양에서 대화까지 걸어왔으니 노독이 쌓여 곤한 잠에 떨어질 즈음 주막집 울타리에 늘어선 대숲이 스산한 가을바람에
사각거리고 짝을 찾는 귀뚜라미 애달프게 울어 에는데 달빛 교교한 심야에 주안상을 받쳐 들고 장지문을 여는 여인이 있었다
땅거미가 내리는 저녁 무렵 주막을 찾아들었을 때 수려한 인물에 단아한 자태가 이런 시골구석 주막에 있기는 아까운 인물이구나 하고
눈여겨봤던 바로 그 여인이었다 “이 깊은 밤에 어인 일인고?”
머리를 조아리며 절을 올리는 자세가 범상치 않다
비록 치마로 하체를 감쌌지만 들이쉰 숨을 아래로 내려 음기(陰氣)를 모은 뒤 깊이 빨아들이는 훈련을 한 걸음걸이로 보아 여염집 아낙은 아닌 듯싶었다
다소곳이 절을 올린 아낙이 살포시 일어나 교방 탁자 넘어 구석에 자리를 지키고 있던 거문고를 가져왔다
고치에서 비단을 뽑아내듯 섬세하고 부드러운 음향이 가야금이라면 음(陰)과 양(陽)이 교합할 때 들려오는 교성처럼 잦아들다 솟구치고 솟구치다 잦아드는 음색이 황홀하고 열락적이다
아닌 밤중에 홍두깨라더니 이게 무슨 횡잰가? 회가 동하지만 근본을 알지 못하는 여인은
여인은 겨드랑이가 깊이 파인 연분홍 항라 저고리를 벗고
사내인 이상 불끈 일어서는 욕망을 잠재우기는 어려웠다
젖무덤이 터질 듯 솟아 있다
봉긋한 꼭지가 선비의 팔굽을 스쳤다
바람이 분다 향탁에선 연향(戀香)이 타오르고 문틈 사이로 흘러들어온 바람에 지촉등불이 살랑거린다 흔들리는 불빛에 드러난 여인의 얼굴은 발그레 물들어 있고 숨소리는 거칠어졌다
분꽃씨 같은 여인의 검은 눈동자가 눈물에 떠 있는 조각배처럼
과부댁을 보고 컹컹대는가? 이때 개 짖는 소리가 적막을 깼다
밤하늘엔 별이 쏟아지고 다시 적막이 흘렀다
여자를 품에 안아본 것이 언제였던가?
당황한 여인은 고개를 숙인 채 흐느꼈다 봉긋한 젖무덤까지 풀어헤쳤던 여인이 떨리는 손으로
지게문 사이로 흘러들어 오는 달빛이 여인의 어깨 위에 부서지며 흘러내린다
소리가 들리건만
여인의 어깨 위에 일렁이던 파도는 멈추지 않았다
주안상을 물리고 지필묵을 들여라 들어온 여인은 종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선비가 눈빛으로 화선지를 찾자 여인은 말없이 갑사 치마끈을 풀어
이튿날 일필휘지(一筆揮之)로 써 내린 휘호를 치마에 남겨두고 동창이 밝을 무렵 주막집을 나선 선비는 장평 진부를 지나 아흔아홉 굽이 대관령을 넘어 해질 무렵에 처가에 도착하였다
선비는 과거시험 때문에 다시 처가를 떠나 한양으로 길을 떠났다
지나는 길손에게 그런 당돌한 청을 한 연유가 무었이더냐?”
귀한 자식 하나 얻어 볼까 하는 마음에 아녀자로서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그리하였습니다
오호, 그랬었구나 그렇다면 오늘밤에 이루지 못한 운우의 정을 풀어보자꾸나
맞추고선 식사 후에 숭늉 챙겨먹는 식으로 들이대니 이런 고얀 일이 있는고 지금은 아니 되옵니다
지금은 그 서기가 사라졌을 뿐 아니오라
여인의 표정은 싸늘했다 선비는 정신이 바짝 들며
선비님은 아들을 얻을 것이온데 다소곳이 치마폭에 무릎을 접은 여인의 입에서 예사롭지 않은 말이 튀어나온다
정신이 바짝 든 선비는 지금까지의 무례를 사과하고 호환을 막을 방도를 물었다
호환(虎患)이 무엇인가? 가장 무서운 일로, 특히 사대부가에서는 치욕으로 여겼다
오죽했으면 ‘호랑이 물어갈 놈’이라는 욕까지 나왔겠는가
보자 하거든 절대 보여주지 말고 밤나무를 보여주소서
한양에 도착한 선비는 밤나무를 심으라는 그 여인의 말이 머리를 맴돌아 공부가 되지 않았다 밤나무가 무엇인가?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밤나무는 죽어서 신주(神主)가 된다 많은 사람으로 하여금 그 앞에 머리를 조아리게 하는 신성한 나무이기에 밤나무를 심는 것은 덕을 쌓는 것이다
율곡 이이가 태어난 오죽헌 몽룡실 과거 공부하던 선비는 고향 마을에 1000그루의 밤나무를 정성들여 심었다
아이를 보자고 했다 내 아이에게 손대지 마시오 선비가 소리를 지르며 밤나무를 가리켰다
“천명을 거역하려는 것이오?”
“나도 밤나무….” 소리치며 나서는 산밤나무가 있었다
|
연꽃과연잎
연꽃과연잎 마음 공부 블로그
'傳說,野談,說話,俗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 속담과 격언 1 (0) | 2017.11.21 |
---|---|
[스크랩] 추사 김정희 선생 친작 (0) | 2017.11.20 |
[스크랩] 귀하처(歸何處) - 어디로 가오. (0) | 2017.09.19 |
[스크랩]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0) | 2017.08.04 |
[스크랩] 양화답운/ 서거정 ★한시산책 (0) | 2017.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