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說,野談,說話,俗談

[스크랩] ◆ 충성 다한 성삼문-김학수 作

라인 빌 2017. 11. 29. 15:51

 

 

충성 다한 성삼문-김학수 作

 


▷ *…'성삼문의 호는 매죽헌이었다. 문과 중시에 장원한 후 요직에서 많은 일을 하였다 … 어린 임금 단종 복위 사건으로 세조의 온갖 악형을 받았으나 끝까지 굴하지 아니하였더라…'. 성삼문이 수레에 실려 사형장으로 끌려가던 순간을 세밀하게 묘사했다. 섬세한 붓 터치와 화려한 색감, 은은히 퍼져 나가는 먹의 농담이 살아 있기에 더욱 사실적이다. 그림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붓글씨로 적어 놓았다.

혜촌 김학수 화백(2009년 작고)은 평생을 역사 풍속화와 산수화 등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풍경과 생활모습을 기록으로 남기는 작품 활동을 했다. "내 그림을 보며 후세들이 한국의 역사를 되돌아보길 바란다"며 김 화백이 작품을 기증했던 인제대 백인제기념도서관(경남 김해시 어방동)에서 그의 뜻을 기려 '혜촌 김학수 화백, 시대정신을 그리다' 전이 개최되고 있다. 통일 신라부터 조선까지 세종대왕 황희 성삼문 신윤복 안중근 등과 관련한 일화를 한 토막씩 보여 주는 기록화 60여 점을 통해 생활 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위인의 모습을 엿보게 한다.

 

     臨死賦絶命詩 (임사부절명시)

    (죽음에 임하여 절명시를 쓰노라)



    성삼문(成三問 ), 조선세종~세조 때 문신

    북소리가 울리면서 생명을 재촉하고

    서풍에 밀린 해는 기울어져만 가네

    황천길에는 주막도 없다는데

    오늘밤은 어디에서 쉬어 갈것인가

     

     

    새남터 사형장에서 망나니의 칼춤을 채촉하는 북소리가

    자꾸 내 생명의 종말을 재촉하는 것 같다. 서풍에 밀려가는

    태양은 서서히 기울어져 가는구나. 조금 있으면 저 태양이

    지듯이 이내 목숨도 곧 끝이 나겠지. 황천길은 머나먼 길

    누군가 말하기를 그 길은 주막도 없는 길이라 하였다

    오늘 나는 죽어서 황천길로 먼 여행을 떠날 것인데,

    노점 하나 없는 그 길에서 힘들어도 쉬어 갈 곳 없으니

    그 점이 아쉽도다

     

    이 시는 단종 복위 음모가 발각되어 어버지인 성승, 유응부

    박팽년, 등과 함께 성삼문이 새남터에서 사형당하기 직전에

    읊은 시라고 알려져 있다. 원래의 단종 복위를 위한 세조 암살

    계획은 당시 운검(경호실 대원)으로 있던 성승(성삼문아버지)

    유응부 등이 세조임금과 세자를 칼로 내려치고,뒷일은 젊은

    성삼문,박팽년 등이 책임지기로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날

    세자가 현장에 나타나지 않자, 경험많은 성승,유응부는 임금

    암살해도 되니 그냥 추진하자고 하였고, 젊은 층은 나중으로

    연기하자고 하였다. 결국 연기하자는 쪽이 우세하여 연기했다가

    질의 밀고로 일당은 다 잡혀가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나중에 남효은이 이 사건을 육신전(六臣傳)에다 상세히 기록해

    두었다. 이 책에서 성삼문,박팽년,이개,하위지,유성원,유응부

    등을 사육신(死六臣)이라 부르게 되었는데,이로 말미암아 당시에

    여섯명만 죽은 것으로 오해 되기도 한다. 사육신은 세조 측에서

    보면 역적이나, 단종 측에서 보면 충신이다. 수백년 뒤에는 충신

    으로 재 평가되어 영조 때에 모든 관직이 복직되기도 하였다

     

    새남터는 한강 철로변에 있는데, 전철을 타고 용산쪽으로

    한강을 건널때 한강에 이르기 직전에 오른쪽에 보면 보인다.

    여기서 옛날에 천주교 신자들이 많이 순교되어 지금은

    이것을 기념하는 성당이 세워져 있다

     

    [출처] 臨死賦絶命詩(임사부절명시) '성삼문'


 




 

                                                                  연꽃과연잎        

            

연꽃과연잎 마음 공부 로그

  
오늘도 즐거고 행복한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연꽃과연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