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억력 감퇴
치매는 기억력과 관련해 뇌에 이상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치매 초기부터 건망증이 유독 두드러진다.
예를 들면 대화를 할 때 똑같은 질문을 반복하거나, 방금 본 TV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까먹는 것도 기억력 감퇴의 증상이다.
헷갈리는 단어가 아니라 평소에 쓰던 냉장고, 의자 등의 익숙한 단어를 자주 까먹을 수 있다.
이름이 떠오르지 않아 대화 중간에 말이 끊길 수 있다.
▲ 건망증
물건을 잃어버리는 것도 비슷한 현상이다.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물건을 잃어버리면, 어디에 두었을지 논리적으로 생각을 한다.
예컨대 리모콘이 없어졌으면 내가 마지막으로 간 장소가 어딘지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치매 환자의 경우 이런 논리적 추론을 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생각이 나지 않아 좌절감으로 이어지고, 도난당했다는 식으로 생각하게 된다.
▲ 추상적 사고의 어려움
돈 관리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치매가 진행되면 수학과 같은 추상적 사고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시간과 요일 등을 착각한다.
아침이라고 생각했다가 저녁인 사실을 깨닫거나,
달력을 보지 않고 요일을 떠올리지 못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인지 장애의 신호일 수 있다.
▲ 시공간 감각 문제
시각 정보 처리나 공간 지각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시각 정보 처리 기능이 떨어져 눈앞 물체와의 거리감 등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해 낙상을
하거나 안전운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 공간 지각 능력이 약화해 방향 감각의 상실로 이어질 수 있어, 매일 가던 길도 헤매게 된다.
이는 기억력 감퇴와도 연결돼 있다.
▲ 인간 관계 단절
치매에 걸리면 기존의 인간 관계를 단절하는 경향을 보인다.
평소 친하게 지내더라도 매일 만나지 않는 친구와 만나는 경우, 대화에 끼어들거나 사람들의
이름을 기억하기 어려워지면서 모임에서 빠지게 되는 것이다.
모임에 나가는 것 자체에 피로감, 불편함을 느끼면서 멀리하게 된다.
▲ 성격의 변화
치매 환자는 성격이 변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아니었는데, 치매를 겪게 되면서 짜증이 늘고,
좌절감에 대한 내성이 낮으며, 눈물이 많아질 수 있다.
반대로 까칠하거나 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 오히려 훨씬 온순해지고 다정해질 수도 있다.
시사저널=서지민 디지털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