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스크랩] ♣와인 마실때의 매너 ♣

라인 빌 2020. 9. 13. 15:40

 


 


와인 마실때의 매너

와인 병을 두손으로 잡는 사람.
와인 글래스를 두손으로 들어 올려 따르는사람.
둘다 한국식 술매너는 완벽하게 지켰지만
와인 매너는 아니다.





와인을 따를 때는보통 한 손으로 병을 들고 따른다.
다른 한손에 냅킨을 들고있는 경우도 있는데

술을 따를때 한두 방울씩 병을 타고
흘러 내리는 것을 막아 테불위에나
손님 옷 위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잔을 받는 사람은 어떻게 하느냐,
그냥 잔을 식탁에 가만히 놓아두는 것이 좋은 매너다.

들고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매우 부담스럽고
쏟을 염려도 있으며 양을 정확하게 따를수가 없다.





한인들끼리 다 아는사이니까
대충 매너를 모르거나 안지켜도 어느정도 용납이 되지만

고급식당에서 웨이터나 소믈리에가 따라줄때
글라스를 들어 올리면
굉장이 당황하므로 이것만은 조심해야 겠다.





그런데 어른이 술을 따라줄때
남들은 다 술잔을 들어 올리고 정중이 받는데,
혼자만 매너 좀 안답시고
뻗대고 앉아 손 하나 까딱 않는 모습은
결코 매너 있는모습은 아니다.

매너란 정해진 형식이 아니라 함께있는 사람을
배려하고 불편하지 않게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럴때 정중한 태도로 잔을 끌어다 따르는 사람 가까이
가져다 놓고 잔 바침과 다리에 두 손을 대고 있는다

이렇게 하면 와인 매너를 지키는것도 되고
두손으로 받는 한국식 예의도 지키는 것이 되기도 한다..





와인 따르는 양

레드 와인의 경우 큰 글래스 3분의1 정도 채우는것이 좋다.
반이상 채우면 잔을 돌려서 향을 맏기 어렵기 때문이다.

화이트 와인은 반 정도 까지 따라도 좋다.


와인의 첨잔

와인 잔이 다 비도록 놔두는것은 결코 좋은 매너가 아니다.
와인을 더 따르는 적절한 타이밍은
한두 모금 정도 남았을때.
더 마시기 싫으면 싫다고 손짓하면 된다.





와인 병이 움푹한 이유

설이 분분하지만 가장 설득력이 있는 설명은
적 포도주의 침전물이 고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오래된 적 포도주의 경우 태닌으로 인한
침전물이 생기는데 병을 세워 놓으면 아래 쪽에 고이므로
잔에 따르거나 디캔딩 할때 쉽게 제거할수 있다.

오래 보관하지 않는 백 포도주의 병들은
대부분 움푹하지 않는것을 보아도 그 이유가 맞는것 같다.





잔을 돌리는 이유

와인을 가능한 많이 공기와 접촉 시켜
충분히 향을 풀어 내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그러나
가느다란 샴페인 잔은 돌리거나 흔들지 않는다.
흔들면 샴페인의 생명인 기포가 더 빨리 날아가기 때문,

또 수많은 기포가 계속 올라와 그냥 코를 대기만 해도
향이 강하게 느껴지므로 굳이 흔들 필요가 없다.





잔의 다리를 잡는 이유

몸통을 잡으면 손의 온도가 와인 맞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상온에 마시는 레드와인은 그런대로 괞찬지만
차게마시는 화이트와인은 다리를 잡는것이 좋다.

아울러 돌려 향기를 맡으려면 자연스럽게 스템을 잡게 되있다.
와인잔을 건배할 때는볼록한 부분을 살짝 부딪친다.





건배할 때.

잔을 부디치지 않고 살짝 들어 올리기도 하지만
굳이 뻗쳐가며 부딪치기를 원 한다면
잔의 볼록한 부분을 쌀짝 대는 것이 좋다.

고급 식당일수록 "리델"(Riedel )이 라는
고급 크리스탈 글래스를 사용하는데
아주 델리킷하여 깨지기 쉽기때문이다.


이왕이면 다홍 치마라고 세련된 매너로~~멋스럽게~~

 


 

 

 


 

 

 

            

              

 

 

                                                                        연꽃과연잎                

 

 

연꽃과연잎마음 공부불로그

                      

  
오늘도 즐거고 행복한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연꽃과연잎